Few expected the military might of the world to change so drastically in 1910 to 2010. The change in 2011 to 2111 will no doubt be far greater.
In 1910 to 2010, no country was powerful enough to take over the entire world. I leave out Hitler’s unrealized dreams since Hitler falls into the idiot category on the scale of human intelligence.
The word “development” as it applies to a person or a country became common in the 19th century. Darwin (died in 1882) noted that human beings, once considered one of the weakest species, compared with beasts like lions or tigers, were later armed with weapons that could kill at a distance and humans were then the most powerful and rapacious creatures.
Read more >
Western liberals who assume they can gradually influence China are wrong – it is an expansionist power without a conscience
Pity the Chinese. The inhabitants of the world’s next superpower cannot search the internet or assemble or travel or speak or read or write or even reproduce without restriction. Yet in the lands where freedom is abundant, China, rather than earning well-deserved rebukes, continues to be championed as the ineluctable future. This disgraceful journey began with a liberal assumption: the west, it was claimed, is more likely to influence China by partnering with it, by giving it a prominent position inside, rather than pushing it outside, global institutions.
Read more >
While many are already talking about the notion of a shift in power from West to East, a thought-provoking book by author Martin Jacques called ‘When China rules the world’ takes this even further by proclaiming that China will not only thrive in the 21st century, but will do so at the expense of the United States.
“I would expect, and I think we’re witnessing, the beginnings of the decline of America, America as the nation that exercises economic hegemony in the world. I think that part of the present crisis actually, the origins of it lie in the inability of the United States any longer to be able to sustain and underwrite the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of which it is the architect and patron. That is a deep problem. The indebtedness means it cannot do it any more – the multiple indebtedness.”
With that, he thinks China, albeit “a reluctant player”, is going to get “willy-nilly drawn into this process.” And with its current economic prowess showing no signs of slowing, some serious and profound implications will be felt.
Read more >
한승동의 동서횡단 /
19세기 중반까지도 유럽의 평균적 소득(생활) 수준은 중국의 그것을 넘어서지 못했다. 특수한 경우를 예외로 한다면, 유사 이래 중국 인민 일반의 평균적 삶의 질은 적어도 19세기 중반까지는 유럽보다 우위에 있었고, 정도 차이는 있었겠지만 조선 등 동아시아 전체가 그랬을 것이다.
지난 200여년간 그런 관계는 서구 우위로 역전됐다. 마틴 자크의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은 21세기 들어 그 관계가 재역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최근의 많은 저작물들 중의 하나다. 마틴 자크는 소련식 개혁개방인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가 서구식 민주주의와 민영화·시장제일주의를 강요한 과도한 서구 근대화 모델 추종 때문에 실패로 끝나면서 양극분해와 매판적 올리가르히들이 득세하는 혼란과 퇴락을 면치 못했던 사실을 떠올린다.
Read more >
이 책을 권한다!
“오늘날 격변하고 있는 세계의 핵심을 단 600쪽의 글을 통해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으시라!”
이렇게 나는 권하고 싶다. 중국 부상론 또는 패권론에 대한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실에서 마틴 자크의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안세민 옮김, 부키 펴냄)은 중국의내면을 정교하게 읽어내고 그걸 통해 세계 질서 재편의 경향과 본질을 짚어내는 위력을절감하게 해 줄 것이다. 그건 자료의 풍부함과 치밀한 논리 전개만이 아니라 중국의 변화를 읽어내는 틀 자체가 다르고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은이 마틴 자크는 영국의 좌파 잡지 <마르크시즘 투데이>의 편집장을 지냈을 뿐만 아니라 런던정경대학 부설 국제관계및외교전략연구소(LSE IDEAS)의 아시아 경제연구소 초빙 연구위원으로 영국 언론 <가디안>에 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기고를 해왔다.
Read more >
As a matter of political pastime or even serious study, leaders and observers often try to note who blinks first in a confrontation between two major powers
Viewed in this perspective, there is a message in the absence of an instant blink-watch when Japan set free the captured Chinese captain of a fishing boat on September 24. He was not formally charged. This can perhaps be treated as a sign of maturity in the enormously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Beijing and Tokyo.
However, the statements by the two sides on this event bristled with the tone and tenor of righteous indignation. At the same time, the discernible political mood behind the scenes, a day or two after the captain’s release, was one of trying to prevent a further escalation of tensions. It was too early, at the time of writing, to foresee with certainty how exactly Japan and China ride out this new storm in their increasingly direct and dynamic engagement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inter-state cooperation in East Asia.
Read more >
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거대한 나라, 중국. 중국의 부상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27년이면 중국이 미국을 추월해 세계 최대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미국의 쇠퇴는 미국 스스로도 인정하는 바이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의 2008년 11월 보고서는 미국의 쇠퇴와 다극체제의 도래를 전망, 미국이 세계의 주도권을 유지할 것이라던 2004년 보고서의 결론을 수정했다.
영국의 정치경제학자 마틴 자크가 2009년에 쓴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팍스 시니카'(Pax Sinicaㆍ중국 중심의 세계질서) 시대를 선언하고, 중국 중심의 새로운 세계사가 열릴 것이라고 말한다.
Read more >
‘중국’이라는 존재만큼 한민족의 유전자에 오랫동안, 그리고 또렷하게 새겨진 화두(話頭)는 없다. 어떻게 하면 거대한 중국에 흡수되지 않고 평화롭게 살아가느냐는 문제는 당(唐)의 100만 대군과 맞닥뜨린 고구려의 연개소문에서부터 중공군의 참전으로 다시 서울을 빼앗긴 이승만에 이르기까지 우리 옛 지도자들이 당면했던 난제(難題)였다. 그리고 이 화두는 TV와 자동차를 한대라도 더 팔기 위해 “니 하오”를 외치는 오늘날의 한국 기업인이나 북핵·천안함·한미 연합훈련 등에서 중국의 태도를 살피는 정부에도 똑같이 유효하다.
Read more >
미·일의 부상보다 충격적인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 재편 “21세기식 조공체제 부활로 국제사회 오히려 안정될것”
‘현대 경제사는 1978년을 분수령으로 하여 중국이 등장하기 전의 경제사(BC: Before China)와 중국 등장 이후의 경제사(AC: After China)로 구분해야 한다.’
1870년 미국이 경제 도약을 시작했을 때 미국 인구는 4000만이었고 성숙기에 들어선 1913년에는 9800만이었다. 일본이 한국전쟁을 계기로 경제 도약을 시작한 1950년 당시 인구는 8400만, 1973년엔 1억900만이었다. 이에 비해 개혁개방으로 도약을 시작한 1978년 당시 중국 인구는 9억6300만, 경제개발계획이 끝나는 2020년의 예상 인구는 14억. 경제도약 시작 시점 인구는 중국이 미국의 24배, 일본의 11.5배였고 2020년 인구는 1913년 미국 인구의 14배, 1973년 일본 인구의 13배로 추산된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027년에 중국은 국내총생산(GDP) 규모에서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압도적인 인구와 미국보다 더 넓은 광대한 영토, 한국 등 동아시아 ‘호랑이’들을 능가하는 빠른 성장속도를 지닌 중국 경제가 세계 경제에 가할 충격효과는 그야말로 전례없는 것일 수 있다.
Read more >
I was booked to give a China talk in August, high season in the Hamptons, as part of the summer series at the Rogers Memorial Library in Southampton.
You never know who’s going to show up for these well-attended sessions – Southampton summer residents number everybody from Henry Kissinger to George Soros to Madonna, who made headlines this season when she plunked down $500k to rent a place for just one month. (Well, it was beachfront.)
I decided to title the talk “Five Things Americans Need to Know about China – Now.” And then, since the venue was a library, I tacked on “… and Six Books that Will Deepen Your Knowledge.” My plan was to scour my dusty shelves for a half-dozen China books I had read – whether months ago or years ago didn’t make any difference, but to make the cut the books had to have lingered in my mind, which can be a difficult task for any book. So of course I spent a lot of beach time rereading the lot. Here they are in the order I mentioned them in my talk:
Read more >